본문 바로가기
관심 정보/잡학다식

2017년 동지는 애동지 팥죽대신 팥시루떡을 먹어요~

by 유쥬링 2017. 12.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쥬링입니다.

2017년 12월 22일 금요일은 24절기중 하나인 동지(冬至)입니다.

이날을 애동지 또는 아기동지라고하는데요,

애동지에는 팥죽을 먹으면 안된다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낯선 분들을 위동지애동지대해 알아볼게요~


동지의 의미

24절기 중 하나로 대설과 소한 사이인 동지는 양력 12월 21일~22일경으로 크리스마스와 겹치는 시기입니다.

태양의 황경 270도 위치에 있을때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이 날부터 염소자리가 시작되요.

동지를 기점으로 낮이 길어지는 것을 태양이 되살아나는것으로 생각하여 태양신을 기리던 이교적 축제도 있습니다.

동지에는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는데 악귀를 쫓고, 

가족의 나이 수 만큼 새알을 넣으 팥죽을 먹으면서 가족의 건강과 안녕을 빌었다고 합니다.


동지의 세가지 이름

애동지 : 동짓달 초순 (음력 11월 1일 ~ 10일)

중동지 : 동짓달 중순 (음력 11월 11일 ~ 20일)

노동지 : 동짓달 하순 (음력 11월 21일 ~ 31일)

2017년 12월 22일은 음력으로 11월 5일이므로 애동지가 되는거네요.


동짓날 팥죽의 유래


<<형초세시기>>에 의하면, 중국 요순시대 형벌을 담당했던 인물인 공공씨에게서 유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공공씨의 망나니 같은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귀신이 되었으며, 이 역귀가 생전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는데 이것이 풍속으로 전래된 것이라고 합니다.

붉은 빛은 양기를 의미하기 때문에 팥이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한다하여 그 후로 잡귀를 물리치는데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애동지에 팥죽을 먹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10세 미만의 아이가 있는 집에서 애동지에 팥죽을 먹으면 아이에게 안 좋은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팥죽을 끓일 때 나타나는 기포가 아이 피부에 생긴다는 설도 있다고 합니다.


삼신할미가 아이를 점지하고 순산을 돕는 신으로 아이가 10살이 될때까지 돌봐주는데,

애동지에 팥죽을 쑤면 삼신할미가 아이 근처로 오지 못하여,

아이의 건강을 지켜주지 못한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대신에 팥죽을 쑤지 않고 팥시루떡을 먹는 풍습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팥은 고혈압, 당뇨와 같은 성인병에 도움을 주고

우리 몸에 단백질 공급원이 되주기때문에 

동짓날에 팥죽을 꼭 챙겨드시길 바래요~

이 곳에는 더 많은 정보들이 있어요

유쥬링의 세상살이 - 카카오스토리 채널

story.kakao.com/ch/yujuring/app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 & 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