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면접의 기본방법 - 경청, 구조화
1) 경청
(1) 시선 마주치기
- 눈은 대화를 관찰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사용됨
(2) 최소한의 격려와 인정
- 일종의 단순음성반응("아,예","음~")이나 장단 맞추기를 적절하게 내담자에게 표현한다.
(3) 문법적 양식 맞추기
- 언어의 사용은 내담자들의 교육 정도와 문화적 경험을 고려하고, 무엇보다 ㄴ담자의 감정을 수용해주는 긍정적 어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4) 고개 끄덕이기
- 상담과정에서 상담자가 적절히 머리를 끄덕이는 것은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고 있다고 느끼도록함.
2) 구조화
- 구조화는 상담자가 주로 상담의 시작 단계에서 내담자에게 상담에 필요한 제반 규범과 상담의 진행방식에 대해 설명해 주는 것을 말함.
(1) 책임과 자율성
- 상담 상황에서 내담자의 문제와 행동 및 문제해결에 대한 자율성과 책임이 내담자 자신에게 있음을 분명히 함.
(2) 상담시간
- 내담자에게 시간에 대한 규정과 한계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함
(3) 제한 행동
- 내담자가 자신과 타인에게 적대적이고 부적절한 행위를 하거나 그 외 범죄 행동이 예상되는 경우에 상담자는 비밀보장의 예외사항에 의거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수 있다는 점을 미리 설명함
(4) 사적 관계와 애정의 한계
- 상담의 특성상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친밀하거나 비밀스러운 관계는 간혹 부적절한 관계 형성이나 내담자의 전이를 유발하기 쉬움
2. 면접의 기본방법 - 반영, 명료화, 침묵
1) 반영
- 반영은 냄자의 탐색을 돕는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서 내담자가 한 말과 행동을 듣고 본 후, 내담자의 감정이나 정서를 파악하여 되돌려 주는 기술을 말함
- 인간의 감정은 긍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감정, 약가 감정 등이 있음.
- 내담자의 일치하지 않는 감정 혹은 느낌을 발견하여 내담자에게 반영을 해주는 것이 필요함
- 내담자가 동일한 대상에게 갈등적인 감정과 태도가 있음을 자각하도록 함으로써 내면적 긴장의 원인을 덜어주게 됨.
2) 명료화
- 명료화는 내담자의 대화내용을 분명히 하고 내담자가 표현한 바를 상담자 자신이 정확히 지각하였는지 확인하는 대화 기술임.
- 내담자로 하여금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측면을 의식하도록 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음.
3) 침묵
- 상담 상황에서 침무긍 내담자의 침묵이 있고, 상담자의 침묵이 있을 수 있음
- 상담의 한 기술로서 여기에서 말하려는 상담자의 침묵은 상담자가 특별히 아무것도 시도하지 않고 내담자의 이야기를 묵묵히 들어주는 것을 말함.
3. 면접의 기본방법 - 직면, 해석
1) 직면
- 직면은 내담자로 하여금 현재 자신이 회피하고 있는 생각, 감정, 행동을 피하지 않고 직시하도록 하는 기술임.
- 내담자가 말한 내용과 행동 방식간의 불일치
- 내담자가 말한 자신의 감정과 행동 방식간의 불일치
- 내담자의 두 개의 언어적 메시지 간의 불일치
2) 해석
- 해석은 내담자가 표면적으로 언급하거나 인식하고 있는것 이상의 심층적 의미를 파악해 전달해주는 것으로서, 내담자의 행동, 사고, 감정의 이면에 있는 감추어진 의미나 원인, 설명을 제공함
- 상담자의 반영, 명료화,직면, 해석은 각기 다르게 표현되지만 반응 내용의 정도 및 범위의 차이가 있을 뿐임.
- 내담자의 내면세계에 접근하는 깊이의 정도는 '반영->명료화->직면->해석'의 순이라고 할 수 있음.
- 내담자가 의식하지 못하는 의미까지 지적, 설명해준다는 면에서 해석은 어렵고 분석적 전문성을 요함
- 해석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제한점 : 해석이 내담자에게 불안과 위협을 주는 경우 제한할 수 있음.
- 내담자의 수준과 문제의 특성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갖는 한 제한점은 극볼될 수 있음.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 & 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공부 > 심리상담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09. 상담의 과정 (0) | 2018.12.10 |
---|---|
08. 상담의 실제 - 문제 별 접근방법 (0) | 2018.12.08 |
06. 상담이론 - 게슈탈트 (0) | 2018.12.04 |
05. 상담이론 - 인지적접근 (0) | 2018.12.02 |
04. 상담이론 - 행동수정 (0) | 2018.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