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심리상담사1급

05. 상담이론 - 인지적접근

by 유쥬링 2018. 12. 2.
반응형

1. 인지적 접근의 발달배경

 - 인간의 부정적 정서와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간의 인지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는 치료 접근.

 - 인지행동치료는 신경증과 우울증을 보이는 내담자에 초첨을 맞추어 발전되어왔음

 - 앨리스의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Rational Emotional Behavioral Therapy : REBT)와 벡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2. 인지적 접근의 기본 개념

 1) 인지적 결정론(cognitive determinism)

 -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은 본인이 생각하는 방식이나 사고의 내용에 의해 결정됨

 2) 비합리적 신념

 - 개인의 정서적 혼란은 대부분 비합리적 신념에서 유발됨

 - 특징 : 당위적 사고, 과장과 자기 및 타인 비하, 좌절에 대한 인내심 부족

 < 일반적으로 보여지는 비합리적 신념(Waters, 1998)>

 첫째,  만약 남들이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면, 그건 끔찍한 일이다.

 둘째, 만약 내가 실수를 저지르면 나는 나쁜사람이다.

 셋째, 모든 일은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되어야하고, 나는 반드시 내가 원하는 것을 쟁취해야한다.

 넷째, 나는 모든 일을 쉽게 해결할 수 있어야한다. 실패자가 되느니 차라리 도전하지 않고 피하는 것이 더 낫다.

 다섯째, 세상은 공평해야하고 나쁜 사람은 벌을 받아야만 한다.

 여섯째, 나는 나의 감정을 드러내서는 안된다.

 일곱째, 어름들은 완벽해야만 한다.

 여덟째, 정답은 오로지 한 개만 존재해야한다.

 마지막, 나는 꼭 이겨야만 하고, 진다는 것은 무서운 일이다.

 3)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

 - 개인이 특정 사건을 경험하게 되면 자동저긍로 떠올리는 생각

 - 우울증의 자동적 사고인 인지삼제(cognitive triad)

 - 자신에 대한 비판적 사고

 - 미래에 대한 염세주의적 사고

 - 세상에 대한 부정적 사고


 4) 인지적 왜곡(cognitive distortion)

 (1) 임의적 추론

  - 충분하게 적절한 증거가 없거나 반대증거를 알면서도 특정 결론에 도달하는것

 (2) 선택적 추론

  - 다른 정보를 무시한 채 전체 맥락 중 중요한 부분을 간과하고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세부사항에 근거해서 상황을 결론지어버리는것

 (3) 과잉일반화

  - 단일사건에 기초하여 극단적 신념을 가지고 일반적 규칙을 추출하거나, 이를 토대로 관련없는 상황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하는것

 (4) 확대화와 과장

  - 자신이 경험한 부정적 사건의 의미를 실제보다 더 과장되게 생각하거나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5) 개인화

  - 관련지을 만한 인과적 연결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외적 사건을 자신에게 귀인 시키는 것

 (6) 이분법적 사고

  - 흑백논리에 따라 사고하고 해석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극단적으로 범주화, 즉 성공 아니면 실패 또는 좋은것 아니면 나쁜것으로 결론짓는것


3. 인지적 접근의 상담과정

 1) 앨리스의 합리적 정서 행동치료

 (1) 치료목표

  - 치료자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내담자의 자기패배적 신념과 자기 또는 타인을 비난하는 태도를 감소시키고 좀 더 실제적이고 현실적인 사고를 증진시키도록 돕는것

 A(선행사건) -> B(신념체계) -> C(결과) -> D(논박) -> E(효과)

2) 벡의 인지치료

 (1) 치료목표

  - 인지적 재구성은 내담자의 잘못된 사고체계나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발견하여 이를 보다 적응적인 사고로 대체하고,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의 근원이 되는 역기능적 도식을 찾아내어 이를 현실적인 내용으로 수정하는 것

 (2) 치료기법

  - 소크라테스식 대화

    : 질문의 목적은 문제를 명료화하거나 정의 내리고, 사고, 심상, 가정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주며, 내담자로 하여금 사건의 의미를 검토하고 지속되고 있는 부적응적 사고와 활동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

  - 자기교시훈련

   : 마인켄바움과 굿맷(Meichenbaum & Goodman, 1971)의 자기교시훈련 긍정적인 대처진술을 개발하여 자기진술을 통해 적응적 ㄷ처반응을 야기하도록 하는것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 & 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공부 > 심리상담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 상담의 실제 - 면접의 기본방법  (0) 2018.12.06
06. 상담이론 - 게슈탈트  (0) 2018.12.04
04. 상담이론 - 행동수정  (0) 2018.11.30
03. 상담이론 - 인간중심  (0) 2018.11.28
02. 정신 분석  (0) 201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