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행동수정이론의 발달 배경
- 인간의 행동을 환경에 의해 학습된 것으로 설명
- 이반 파블로프(Ivan Pavlov)와 존 왓슨(John Watson)의 고전적 조건형성
- 브루스 프레드릭 스키너(Burrhus Frederic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2. 행동수정이론의 기본 개념
- 인간은 선하지도 악하지 않은 백지상태로 태어남.
- 인간의 모든 행동은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양식들이 연합, 강화, 모방 등을 통해 학습된 것임.
1) 고전적 조건형성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 중성자극을 무조건자극과 반복적으로 연합시켜 중성자극을 조건자극으로 학습시키는 방법
(2) 왓슨의 행동주의
-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원리를 인간행동에 적용시킴
- 생후 11개월 된 알버트에게 흰 쥐에 대한 공포반응 조건형성 실험을 실시 존스는 탈 조건형성(deconditioning)실험 실시
2) 조작적 조건형성
- 스키너가 고전적 조건형성의 단순성을 비판하면서 발전시킨 개념
- 인간의 특정 행동 이후에 강화를 제공함으로써 행동을 조건형성 시킴
(1) 강화(reinforcement)
-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자극
-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 내담자가 특정행동을 보이면 즉시 긍정적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
-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
: 내담자가 특정행동을 보이면 즉시 싫어하거나 혐오하는 부정적 자극을 소거시키거나 보류함으로써 결국 바람직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
- 강화는 아동의 행동 이후 즉각적으로 주어져야 하며, 아동의 발달수준과 보상에 대한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주는것이 바람직
(2) 강화계획
- 연속적 강화계획 : 특정행동을 보일 때마다 매번 강화를 제공하는 것
- 간헐적 강화계획 : 행동을 보일 때 매번 강화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
고정간격계획, 변동간격계획
고정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
(3) 사회학습이론
- 인간은 자극이나 강화를 경험하지 않고 타인의 행동을 관찰만해도 학습가능
- 반두라의 보보인형 실험
관찰학습의 과정
주의집중단계(attentional process)
기억단계(retention process)
운동재생단계(motor reproduction process)
동기화단계(motivational process)
3. 행동수정 이론 상담과정
1) 상담목표
- 학습된 인간의 부적응 행동을 소거시키고 보다 적응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을 새롭게 학습시키거나 증진시키도록 만드는 것
2) 상담과정
- 목표행동(target behavior) 정하기
- 기저선(baseline) 파악하기
- 상담기법을 선택하여 적용하고 상담효과 검증하기
(1)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내담자가 근육이완상태에서 불안이나 공포를 야기하는 상황을 가장 약한 자극에서부터 가장 강한 자극까지 점진적으로 상상하면서 불안이나 공포를 극복하게 하는 행동수정기법
(2) 혐오기법(aversive technique)
부적응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즉시 매우 고통스럽고 혐오스러운 자극을 제공하여 부적응 행동을 소거시키는 치료기법
(3) 토큰경제(token economy)
아동이 바람직한 목표행동을 했을 때 토큰을 받고, 부적응적 행동을 했을 때 토큰을 잃게 하여 기준이 되는 토큰이 모두 모이게 되면 아동과 함께 계획한 보상으로 교환하게 하는 치료기법
(4) 행동조성(shaping)
행동을 여러단계로 구분하여 강화시킴으로써 점진적으로 최종목표가 되는 바람직한 행동에 근접하도록 유도하는 치료기법
(5) 타임아웃(time-out)
아동이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순간 정적 강화를 일시적으로 중지하거나 아동이 하고 싶어 하는 활동을 일정시간 금지시키고 고립시키는 것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 & 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공부 > 심리상담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상담이론 - 게슈탈트 (0) | 2018.12.04 |
---|---|
05. 상담이론 - 인지적접근 (0) | 2018.12.02 |
03. 상담이론 - 인간중심 (0) | 2018.11.28 |
02. 정신 분석 (0) | 2018.11.26 |
01. 상담자의 가치와 윤리 (0) | 2018.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