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놀이치료의 발달배경
놀이치료란 훈련 받은 치료자가 사회정섲거인 어려움이나 발달상의 문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의 치료적 힘을 활용하여 하는 심리치료임
1) 초기의 놀이치료
- 프로이드(S. Freud)
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해 놀이를 처음 도입함.
어린 한스의 공포증을 한스 아버지를 통하여 치료함.
- 허그 헬무스(Hug-Hellnuth)
아동분석을 위하여 놀이를 처음으로 치료에 적용
- 멜라니 클라인(M.Kline)
놀이를 성인의 언어화된 자유연상으로 봄.
놀이행동에서 드러난 아동의 무의식적 환상, 불안, 방어를 해석
- 안나 프로이드(A.Freud)
아동과의 치료적 동맹을 형성하기 위하여 놀이를 사용.
관계형성이 되면 치료과정의 강조점은 언어적인 상호작용으로 서서히 옮겨감.
2) 구조화된 놀이치료
1930년대 중반부터 정신분석적인 이론에 기초한 '구조화된 놀이치료'라고 알려진 놀이치료 기법이 발달하기 시작
놀이의 정화적인 가치와 치료과정에서 치료자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
- 레비(Levy)의 이완치료(Release Therapy)
- 솔로몬(Solomon)의 적극적인 놀이치료(Active Play Therapy)
2.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
1) 치료의 가치
첫째, 놀이를 통하여 내담자와 치료자는 쉽게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둘째, 내담자의 연령이나 발달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내담자에게 놀이를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함
셋째, 놀이 자체의 치료적 힘이 있어서 내담자가 굳이 의식화하지 않아도 무의식 차원에서 치유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넷째, 어떤 부정적 감정도 놀이로 안전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섯째, 놀이에는 긍정적인 느낌이 수반된다
여섯째, 놀이를 통하여 다른 사람의 임장이 되어 역할을 해보거나 혹은 어떤 문제에 대하여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관점을 가질 수 있다.
2) 놀이도구 유형 - 실새왈 관련 놀이 도구
놀이도구 종류 |
심리적 내용 |
인형집, 가족인형, 사람퍼펫 |
가족관계에서 경험하는 분노, 두려움, 수치심, 경쟁심, 질투 등과 욕구 |
유치원, 학교, 사람인형 |
유치원이나 학교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감정과 욕구 |
소꿈도구, 아기인형, 양육도구 |
양육경험과 관련되는 감정과 욕구 |
병원놀이도구 |
병원에서의 부적절한 경험으로 인한 불안감 완화, 숙달감과 통제감을 경험 |
슈퍼마켓도구, 금전출납기 |
가게 주인이 되어 상황에 대한 통제감과 조절감 |
탈것들 |
방탐색을 위한 구실, 치료자에게 접근을 용이하게함. 탈것의 경험과 관련된 답답함, 좌절, 혼란스러움, 움직임의 욕구와 힘 |
3. 놀이치료의 상담과정
1) 치료자의 역할
- 치료실 내에서 내담자에게 치료적 태도로 반응하기
- 내담자에게 적절한 경험을 하도록 환경(가족, 학교, 또래관계)에 개입하여 방향을 안내하기
(1) 추적반응하기
- 추적반응 : 치료자가 내담자의 놀이행동과 내용을 부드러운 목소리로 정감을 담아서 매 순간 읽어주기
(2) 사고, 감정, 욕구 반영하기
- 치료자가 민감성과 수용력을 바탕으로 아동의 사고, 감정, 욕구 등을 내담자에게 반영해줌으로써 내담자에게 이해하고 공감하고 있음을 전달해준다. 이러한 공감적 반영을 통해 내담자는 자신의 감정이나 표현이 수용될 수 있는것이라고 느끼면서 마음의 문이 열리게 되고 자신의 사고, 감정, 욕구에 대한 이해가 명확해지고 점점 더 깊은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
(3) 내담자에게 책임감 돌려주기
- 내담자는 종종 무엇을 해야할지, 무엇을 갖고 놀아야 할지, 어려운 일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를 치료가자 말해주기 바란다.
- 그러나 내담자에게 자기가 원하는 것을 할 수 있게 기회를 주고 격려해준다면 점차적으로 내담자는 치료자의 결정을 묻지않고 스스로가 결정하여 하게 된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아요 & 공유♡를 부탁드려요~
당신의 좋아요는 글쓴이에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공부 > 심리상담사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다양한 심리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0) | 2018.12.20 |
---|---|
13. 미술치료 (0) | 2018.12.18 |
11. 집단 상담 (0) | 2018.12.14 |
10. 상담의 유의사항 (0) | 2018.12.12 |
09. 상담의 과정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