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3

14. 다양한 심리치료 -음악치료, 독서치료 1. 음악치료 1) 음악치료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질병치료의 수단으로 이용됨 음악의 힘에 대한 믿음 음악치료에 대한 과학적 연구 진행 2) 음악치료의 개념 (1) 음악의 의미와 가치 음악은 인가의 생리적, 신체적 반응을 조장하므로 심리치료의 도구로 적절함. 가락과 장단, 화음 등의 요소를 가지고 이념과 감정을 표현하는 소리의 예술로 인간의 마음을 안정시킴. (2) 음악치료의 개념 음악적 경험을 통한 내담자의 행동변화이며 음악치료사에 의한 체계적 과정 다양한 연령대, 다양한 질환에 적용가능 (3) 기본전제 음악은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음악적 환경에서의 행동은 일반환경에 전이된다 음악은 인간의 기본적 욕구를 다루는 힘이 있다 음악은 인간발달의 모든 측면에 관련된다 3) 음악치료의 구성요소 (1) 음악치료의.. 2018. 12. 20.
13. 미술치료 1. 미술치료의 발달 배경 미술치료는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과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인, 두 개의 큰 줄기로 나누어 발전해왔다. 1) 미술치료의 창시자 나움버그(Margaret Naumburg) :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 (Art in therapy) - 내담자의 미술 작품은 그의 무의식을 상징하는것. - 심리치료과정에서 그림을 매체로서 이용하는 치료에서의 미술(Art in therapy) 2) 크레이머(Edith Kramer) :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 - '예술을 창조하는 과정 그 자체가 치료적' 이라고 보는것 - 치료로서의 미술(Art as Therapy) 3) 울만 (Elinor Ulman) - 미술 치료를 독립된 문야로 발전시킨 인물 - 1961년 'Bulletin of Art Therapy' .. 2018. 12. 18.
12. 놀이치료 1. 놀이치료의 발달배경 놀이치료란 훈련 받은 치료자가 사회정섲거인 어려움이나 발달상의 문제를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의 치료적 힘을 활용하여 하는 심리치료임 1) 초기의 놀이치료- 프로이드(S. Freud)아동의 심리치료를 위해 놀이를 처음 도입함.어린 한스의 공포증을 한스 아버지를 통하여 치료함.- 허그 헬무스(Hug-Hellnuth)아동분석을 위하여 놀이를 처음으로 치료에 적용- 멜라니 클라인(M.Kline)놀이를 성인의 언어화된 자유연상으로 봄.놀이행동에서 드러난 아동의 무의식적 환상, 불안, 방어를 해석- 안나 프로이드(A.Freud)아동과의 치료적 동맹을 형성하기 위하여 놀이를 사용.관계형성이 되면 치료과정의 강조점은 언어적인 상호작용으로 서서히 옮겨감. 2) 구조화된 놀이치료 1930년대 .. 2018. 12. 16.
11. 집단 상담 1. 집단상담의 정의 및 특징 1) 정의 - 한사람의 상담자가 동시에 몇 명의 내담자들을 상대로 각 내담자의 관심사, 대인관계, 사고 및 행동양식이 변화를 가져오게 하려는 노력 2) 특징① 집단상담은 의식적 사고와 행동 그리고 허용적 현실에 초점을 둔 정화, 상회 신뢰, 돌봄, 이해, 수용 및 지지 등의 치료적 기능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역동적 대인간의 과정임② 치료적 기능들은 동료 성원들과 상담자가 하나의 작은 집단에서 사적인 관심거리들을 서로 털어놓고 이야기 함으로써 이룩됨③ 집단의 성원들은 포괄적인 성격의 변화를 요할 정도로 심한 문제를 갖지 않는 근본적으로 정상적인 개인들임.④ 집단 성원들은 가치와 목표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키고 새로운 태도와 행동을 학습하고 이미 학습한 것중에서 바람직.. 2018. 12. 14.
10. 상담의 유의사항 1. 내담자가 느끼는 불안 - 상담자가 둔감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①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게됨 ② 내담자는 기본적으로 상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잘 해결해 줄수 있는가에 관심 ③ 내담자의 고유한 성격특성과 역동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없음 1) 상담자가 나를 이해할 수 있는가 - 내담자가 상담자의 전문성을 시험하고 있다는 느낌에 반발하여 내담자에게 방어적이거나 퉁명스럽게 대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음 - 내담자의 질문에 대해서는 솔직하게 대답을 하되 상담자 자신의 신상에 대해 지나치게 길게 늘어놓지 않음. - 지나치게 길게 답하지 말고 이러한 질문을 하는 내담자의 마음을 헤아리는 반영반응을 하거나 궁금했던 이유나 의도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 필요함 2) 상담에서.. 2018. 12. 12.
09. 상담의 과정 1. 상담의 진행과정 1) 상담의 단계① 문제의 제시 및 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② 촉진적 관계의 형성③ 목표설정과 구조화④ 문제해결의 노력- 문제에 대해 명확히 정의 -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과 가능한 방안을 정함- 문제해결방안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⑤ 자각과 합리적인 사고의 촉진⑥ 실천행동의 계획⑦ 실전결과와 평가의 종결 2. 상담의 첫 면적 1) 첫 면점의 목표 - 내담자로 하여금 자기가 말하고 싶은 것을 안심하고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 -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가 경청하고 있고 그의 말을 이해하고 있음을 인식 2) 첫 면접에 관한 내담자의 변인 ① 바람직한 기대 - 자기를 괴롭히는 문제를 공개저긍로 솔직하게 말해야 함 - 상담자만틈 이해라고 노력해야 함 - 상담과정에서 적극적인 참여자의 역.. 2018. 12. 10.